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54

츄 사이언스 - 대륙지각과 해양지각 지각 지각은 크게 대륙지각과 해양지각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러한 대륙지각과 해양지각은 지각의 구조, 구성물질, 생성연대 등 많은 차이를 보입니다. 아래의 그림은 동태평양 해저 산맥으로부터 아프리카를 횡단하는 지각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해양지각에 비해 대륙지각이 더 두껍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대륙지각과 해양지각 1. 대륙 지각 대륙지각은 약 46억 년의 지구 역사의 대부분을 통해 형성된 암석들로 이루어졌으며 지표면에서 크게 3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선캄브리아대의 화성암과 고변성의 변성암으로 이루어진 대륙 순상지, 선캄브리아대의 기반암을 덮고 있는 그 이후의 변성퇴적암으로 구성된 대륙과 제3기 습곡 산맥입니다. 대륙지각의 두께는 평균적으로 약 35km이나 지역에 따라 .. 2020. 12. 18.
츄 사이언스 - 지각의 구조 연구방법 지각 지각은 모호면 위의 얇은 부분으로, 이 불연속면은 대륙과 해양 밑에 거의 전세계적으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각은 지구 부피 전체의 약 1% 정도밖에 되지 않으며, 지구 질량의 약 0.5%를 차지합니다. 지각의 구조와 구성물질 및 그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시추 등에 의한 직접적인 방법과 탄성파의 속도 분포, 중력이상의 분포, 지자기 및 그의 변동, 지각 열류량의 분포 등을 이용하는 간접적이 방법이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각구조의 연구방법 1. 직접적인 방법 지각의 구조나 구성물질을 알아보기 위한 직접적인 방법은 주로 지각내부로 뚫고 들어가 암석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는 시추 혹은 굴착에 의한 방법이 이용됩니다. 이 방법은 지구 내부를 규명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입.. 2020. 12. 17.
츄 사이언스 - 조석을 일으키는 힘, 기조력 조석 현상과 조류 1. 조석 해수가 규칙적으로 승강하는 현상을 조석이라고 합니다. 모든 해안에서 수면은 하루에 2회씩(반일주, semi diurnal) 또는 1회씩(일주, diurnal) 주기적으로 승강하며, 이에 따라서 해수가 움직이고 있습니다. 조석의 작용으로 해면이 최고가 되었을 때를 만조(high water)라 하고, 최저가 되었을 때를 간조(low water)라고 합니다. 만조로부터 다음 만조까지를 또는 간조로부터 다음 간조까지의 시간을 조석의 주기라 합니다. 이는 약 12시간 25분의 주기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즉 24시간 50분만에 반일주 조석에서는 2회의 만조와 2회의 간조가 일어나게 되고, 일주의 조석에서는 1회의 만조와 1회의 간조가 나타납니다. 이것은 달의 시운동과 관련이 있는데, 달.. 2020. 1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