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55

츄 사이언스 - 해류를 측정하는 방법 해류란? 해수면에 흡수된 태양 복사 에너지는 해수를 증발시켜 바다, 대기, 육지 사이의 물의 순환이 일어나게 합니다. 그뿐만 아니라 해수의 운동과 대기의 운동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이러한 물의 순환 과정에서 해양과 대기의 상호작용이 해면의 풍랑 현상에 의해 일어나게 되고, 주고받은 물질과 열은 해류에 의해 운반되어 세계 각지의 기후 및 지형변화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해수의 수평운동에는 해류와 조류가 있는데 그 중에서 거의 일정한 방향과 속도를 가지는 해수의 이동을 해류라고 합니다. 해류는 대기의 순환과 매우 유사하지만 대기순환이 지구를 빙빙 도는 것에 비해 해양은 여러 대륙에 의해 가로막혀 각 해양 내에서만 순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해류의 방향은 해수가 흘러가는 방향을 뜻합니다. 해류의 방.. 2020. 12. 14.
츄 사이언스 - 엘니뇨 현상이란? 엘니뇨 해류 남미의 페루 및 에쿠아도르의 동부 열대 태평양 연안해역에서는 적도에서 약간 북반구에 치우쳐 있는 열대 수렴대를 향해 연안과 평행하게 남풍이 불고 있습니다. 이 남풍은 코리올리 힘의 영향을 받아 표층의 해수를 외해 쪽으로 이동시키는 에크만 수송을 일으키게 되고, 표층수가 외해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그 빈자리를 메우기 위해 심층으로부터 해수가 용승하게 됩니다. 이러한 용승을 연안용승이라고 하는데, 이로 인해 이 해역의 해면 수온은 항상 낮게 유지됩니다. 심층에 있는 해수는 영양염류가 많기 때문에 열대 태평양의 연안 해역은 정어리 어장으로 유명합니다. 이러한 용승은 적도에서도 일어납니다. 적도상에서는 코리올리 효과가 0이고, 저위도를 경계로 부호가 바뀌게 됩니다. 따라서 남동풍에 의한 에크만 수송.. 2020. 12. 13.
츄 사이언스 - 해저 지형 해양의 분포 해양은 태양계 행성 중 지구에만 존재하며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유일한 조건입니다. 이러한 해양의 분포를 살펴보자면, 전체 바다의 체적은 지구 전체 체적의 1/790에 불과하고 지구 표면에 매우 얇은 층을 이루고 있습니다. 해양의 깊이는 지구 반지름의 1/1680에 지나지 않으므로 만약 지름 30cm의 지구본에다 바다를 그리면 바다의 깊이는 종이 두께 정도가 될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해양학자들은 해양 단면도를 그릴 때 수평거리에 비하여 두께를 수백~수천 배 확대한 해양 단면도를 사용하는 데 이러한 그림은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오해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해양의 평균수심은 약 4km입니다. 세계의 바다분포는 남극대륙을 에워싼 환 남극해를 중심으로 해 세 가닥으로 뻗어있다고 할 수 있습.. 2020. 1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