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하자 !/지구과학

츄 사이언스 - 구름의 종류

by joufflu 2020. 12. 11.
반응형

구름의 분류

구름의 전체적인 형상과 특징은 고도가 다를 뿐만 아니라 모양까지 크게 차이가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구름입자의 상(phase)과 발달 정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구름의 수직 발달 정도는 기층의 안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불안정한 기층에서는 적운형의 구름이 발달하고, 안정한 기층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발달할 수 없기 때문에 옆으로 퍼진 층운형의 구름이 발달하게 됩니다. 구름의 형태를 분류하는 기준은 겉모양과 출현하는 높이 입니다.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구름의 종류는 10개가 있으며, 이 10종의 특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름의 기본 10종 운형

구름의 종류와 특징

1. 권운 (Cirrus)

권운은 대류권내에 나타나는 구름 중에서 가장 높은 구름입니다. 구름이 모두 빙정으로 되어있는 것이 권운의 가장 큰 특징입니다. 새털 같은 모양, 갈퀴와 같은 모양, 흰 털실 한 타래를 헝클어 놓은 듯한 모양, 비로 살짝 쓸어버린 후 땅에 남은 빗 자국이 있는 눈이 푸른 하늘을 배경으로 하여 떠 있는 것 같은 모양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어느 경우에나 섬유상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 권운의 특징입니다.

2. 권적운 (Cirrocumulus)

권적운은 작은 흰구름의 덩어리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집단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러한 권적운은 생선의 비늘 모양으로 보이기도 하고, 그 덩어리의 모양이 다소 찌그러져 마치 엉켜져 있는 듯한 모양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때로는 연못의 수면 위에 나타나는 물결과 같은 모양이 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권적운을 파상 권적운이라고 합니다. 권적운 역시 권운과 마찬가지로 빙정으로 되어있어 각 덩어리에 음영이 없고 흰 색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간혹 석양을 받게 되면 아름답게 채색되기도 합니다.

3. 권층운 (Cirrostratus)

권층운은 하늘의 푸른 색이 희미하게 되어 마치 면사포를 씌운 듯한 느낌의 엷은 흰구름입니다. 권층운 역시 빙정으로 되어 있고, 수증기량이 적은 고공에 나타나 두꺼운 구름이 되지는 못합니다. 햇무리 또는 달무리가 나타날 때가 바로 이 권층운이 태양이나 달을 덮게 될 때입니다. 이것은 빙정에 입사한 광선의 굴절 및 반사에 의하여 생기며, 그 시반경은 약 22 °이고 무지개처럼 선명하지는 않지만, 몇 가지 색으로 채색될 때가 많은데, 안쪽이 붉은색이 됩니다. 때로는 시반경 46 °인 햇무리가 보일 때도 있습니다.

4. 고적운 (Altocumulus)

고적운은 권적운보다 고도가 낮고 과냉각 수적으로 되어 있어 권적운보다는 큰 구름 덩어리들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모양은 양 떼처럼 보이기도 하고, 다소 변형되어 나타나기도 합니다. 구름 덩어리는 앞서 이야기한 구름과는 달리 음영이 있어서 입체감을 주는 것이 특징이고, 때로는 파상 배열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파상 배열을 보이는 고적운을 파상 고적운이라고 합니다.

5. 고층운 (Altostratus)

고층운은 회색 또는 암회색의 차일과 같이 하늘을 덮고 있는 구름인데, 이 고층운 중 엷은 것은 권층운의 짙은 것과 비슷한 외관을 보여줍니다. 고층운이 발달하여 두꺼워지면 이슬비가 내리기도 하고, 겨울철에는 고층운에서 눈이 내리는 경우도 많습니다.

6. 난층운 (Nimbostratus)

난층운은 장시간 지속되는 비를 내리게 하는 수적운입니다. 운전은 비 때문에 분명하지는 않고 구름층이 두껍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7. 층적운 (Stratocumulus)

층적운은 큼직한 구름 덩어리들이 서로 융합되어 있는 것같이 배열되기도 하고, 둘둘 말린 모양으로 혹은 파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수적운으로 고도가 낮은 것이 특징입니다. 

8. 층운 (Stratus)

층운은 가장 낮은 층상의 구름으로서 안개와 비슷하기도 하지만, 지면에 접해 있는 안개와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층운은 지면에 접해있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층운의 일부분이 잘라진 것과 같은 토막 난 구름을 편 층운이라고 합니다.

9. 적운 (Cumulus)

적운은 뭉게뭉게 솟아 오른 구름으로 여름철 맑은 하늘에서 거의 언제나 볼 수 있는 구름의 형태입니다. 운저는 대략 수평으로 되어 있고 맑은 날 낮에 크게 발달하며, 밤에는 소멸되어 버립니다. 따라서 적운은 그 지역에 대류에 의한 상승기류가 있음을 나타내는 구름입니다. 또한 이러한 상승기류를 나타내 주는 구름을 호천 적운이라 합니다. 또한 적운의 일부가 갈라진 것 같은 토막 구름을 편적운이라 하고, 적운이 크게 발달한 것은 웅대 적운이라 합니다.

10. 적란운 (Cumulonimbus)

왕성한 상승 기류 때문에 적운이 수직으로 크게 발달하여 형성된 구름입니다. 내부의 강한 상승 기류 때문에 수직으로 자라서 웅대 적운이 되고, 대류권 계면까지 성장하게 되면 더 이상 성장할 수가 없어 구름모양이 모루같이 되어버리는 것이 적란운의 특징입니다. 그래서 적란운을 모루 구름(anvil cloud)이라고도 부릅니다. 적란운은 소나기를 내리며 천둥, 번개, 때로는 우박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반응형

댓글